개발/Java 16

Java] Do it 자바 프로그래밍 입문 요약 (둘째마당 - 06)

둘째마당, 자바의 핵심.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06) 클래스와 객체2 this 예약어 생성된 인스턴스 스스로를 가리키는 예약어, 자신의 메모리를 가리키는 this! 생성자에서 다른 생성자를 호출하는 this! 자신의 주소를 반환하는 this! Class Person { String name; int age; Person(){ this("이름없음", 1); //this를 사용해 Person(String,int)생성자 호출 } Person(String name, int age) { this.name = name; this.age = age; } } public class CallAnotherConst{ public static void main(Stirng[] args){ Person noName = new..

개발/Java 2019.06.14

Java] Do it 자바 프로그래밍 입문 요약 (둘째마당 - 05)

둘째마당, 자바의 핵심.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05) 클래스와 객체 1 객체란? 개체를 먼저 정의하고 각 객체가 어떤 기능을 제공하고 객체 간 협력을 어떻게 구현할 것인지 고민 클래스란? 클래스는 객체의 속성과 기능을 코드로 구현한 것. *클래스 이름은 대문자로 하는 게 관습 ex) '학생'이라는 객체 클래스 이름은 Student 클래스 속성은 (=특성, =멤버변수) 학번, 이름, 학년, 사는 곳 (접근 제어자) class 클래스 이름 { 멤버 변수; 메서드; } 메서드란? 예를 들어 학생과 관련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. 메서드 = 멤버 함수 함수 호출과 스택 메모리 함수를 호출하면 그 함수만을 위한 메모리 공간이 할당 됨. 클래스 사용과 main()함수 main( )함수에서 클래스를 사용하는 방법은 ..

개발/Java 2019.06.11

Java] Do it 자바 프로그래밍 입문 요약 (첫째마당 - 04)

첫째마당, 자바 기본 익히기 04) 제어 흐름 이해하기 조건문과 조건 연산자 아래 조건문과 if(a > b) max = a; else max = b; max = (a > b) ? a : b; 위의 조건 연산자는 같은 의미이다. switch-case문 if(rank == 1) { medalColor = 'G'; } else if(rank == 2) { medalColor = 'S'; } else if(rank == 3) { medalColor = 'B'; } else{ medalColor = 'A'; } switch(rank){ case 1 : medalColor = 'G'; break; case 2 : medalColor = 'S'; break; case 3 : medalColor = 'B'; break..

개발/Java 2019.06.11

Java] Do it 자바 프로그래밍 입문 요약 (첫째마당 - 03)

첫째마당, 자바 기본 익히기 03) 자바의 여러가지 연산자 기본 연산자 연산자 우선순위 : 단항 연산자 > 이항 연산자 > 삼항 연산자 조건 연산자 조건식 ? 결과1 : 결과2 => 조건식이 참이면 결과1, 거짓이면 결과2가 선택된다. ex) int num = (5 > 3) ? 10 : 20; 결과는 5 > 3이 참이므로 10이 선택 됨. 비트 연산자 &(AND) - 둘 다 1이어야만 1 |(OR) - 둘 중 1이 있으면 1 ^(XOR) - 둘이 같으면 0, 다르면 1

개발/Java 2019.06.11

Java] Do it 자바 프로그래밍 입문 요약 (첫째마당 - 02)

첫째마당 자바 기본 익히기 02) 변수와 자료형 비트와 바이트 8비트(bit) = 1바이트(byte) 2진수, 8진수, 16진수의 표현 2진수를 사용할 때는 숫자 앞에 0B를 붙이고, 8진수는 0, 16진수는 0X 부호 있는 수의 표현, 2의 보수 부호도 0과 1로 표현한다. 맨 앞의 부호비트가 0이면 양수, 1이면 음수이다. ex) 8비트로 5를 표현 00000101 8비트로 -5를 표현 10000101??! 그럼 5+(-5)를 했을 때 0이 나오냐? 안나오더라!! 그럼 맨 앞에 비트부호만 1로 바꾼다고 해서 음수가 되는 것은 아닌 것 같다. 이 때 필요한 개념이 '2의 보수'! Step 1, 1의 보수 구하기 5(00000101)의 1의 보수는 11111010이다. 두 값을 더하면 11111111이 ..

개발/Java 2019.06.11